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최근 아파트 도색 작업을 하던 50대 남성이 추락해 숨졌죠. <br><br>로프 작업자들의 사고, 잊을 만 하면 또 터지는데요, <br><br>어떤 문제가 있는 건지 현장카메라, 김승희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줄 하나에 의지해 수십 미터 높이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 <br> <br>로프 작업자, 일명 로프공인데요.<br><br>밑에서 보기만 해도 아찔한 높이인데, 이들의 안전은 괜찮을까요. <br>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동이 트기도 전인 새벽 6시, 로프공들이 작업장에 도착합니다. <br> <br>오늘은 7층 상가 건물의 창문을 청소하는 날입니다. <br> <br>[신경향 / 로프공] <br>"건물이 많이 노후돼서 청소하는 게 쉽진 않을 것 같아요." <br> <br>오래된 건물이라 따로 줄을 걸 수 있는 안전 고리가 없는데요.<br><br>임의로 기둥에 묶거나 가스 배관에 의지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> <br>작업할 때는 주로 의자형 달비계를 이용하는데 균형잡기가 쉽지 않습니다. <br><br>[이모 씨 / 로프공] <br>"아찔한 경험이 있죠. 줄이 항상 움직이다 보니까 그게 풀리는 경우가 있어요." <br> <br>장비가 떨어지기도 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장비) 어디로 갔어? 떨어진 것 좀 주워줘 봐." <br> <br>균열 보수 작업 중인 한 아파트 현장입니다. <br> <br>로프 줄을 걸어야 하는 고리는 시멘트에 파묻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.<br><br>법적 의무 사항인 관리감독자도 없고 장애물을 알려주는 인력, 신호수조차 없습니다. <br><br>[강응수 / 로프공] <br>"비용이 좀 넉넉하면 괜찮은데 그렇지 않다 보니까. 실상은 혼자서 작업하는 경우도 되게 많습니다." <br> <br>위험한 일인데도 구인 공고에는 경력이 없어도 된다고 적혀 있습니다.<br><br>정말 일반인이 타도 괜찮을까. <br> <br>전문 교육을 받은 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줄을 타봤습니다. <br> <br>시작부터 난관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그냥 내려가기만 하는 건데도 너무 힘들다. 손은 놓을 수가 없어." <br> <br>장애물을 만나자 온몸이 얼어버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어, 이거 호스가 (걸렸어요)." <br> <br>그냥 줄만 타고 내려왔는데도 온몸에 근육통이 생긴 수준입니다.<br> <br>제대로 된 교육이 없으면 사고로 이어지기 쉬운데 비숙련자가 투입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[우원호 / 로프교육업체 대표] <br>"실무에 있는 사람들도 매듭법을 많이 모르고 있는 경우들도 있고." <br> <br>고용노동부가 지난해부터 교육 인증 제도도 만들었지만 의무가 아닌 탓에 현장에선 무용지물입니다.<br><br>[김종호 / 한국산업로프협회 협회장] <br>"기업이라든지 이런 데 얘기를 하면 전혀 몰라요. '현장 가면 그런 거 안 따지던데요, 안 물어보던데요.' 그런 현실이니." <br> <br>협회 추산 전국 로프공은 약 8만 명.<br> <br>열악한 환경과 허술한 안전관리에 오늘도 아슬아슬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김승희입니다. <br> <br>PD 장동하 <br>AD 송시원 <br>작가 신채원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